[Spring] SpringMVC
·
DrillDown/Spring
📖 개요여태까지 API 서버 개발을 하게되면 항상 SpringMVC를 사용했습니다. 서블릿 기반으로 동작해서 요청이 들어오면 매핑되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응답이 나간다는 것만 인지한 채로 사용했었는데요. 오늘 좀 더 깊이있게 살펴보고 동작방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보려고 합니다. 목차SpringMVC란?SpringMVC 구성 요소와 동작 흐름마치며 🧐 SpringMVC란?해당 모듈은 Spring 프레임워크에 포함되는 웹 프레임워크로서, 공식적인 이름은 “Spring Web MVC” 입니다. Servlet API 기반으로 동작하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요청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쓰레드가 맡아서 응답까지 책임지게 되는 동기/블로킹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Servlet이란?Se..
[Spring] 톰캣 요청 쓰레드, 내가 조절해보자
·
DrillDown/Spring
📖 개요여태까지 API 서버를 개발하면서 스프링부트를 가장 많이 사용해왔습니다. 병목이 발생할만큼 많은 트래픽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API 요청을 처리하는 톰캣 쓰레드 수를 다뤄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해당 부분을 학습하고 실제로 적용한 값이 예상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려고 합니다.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API 요청부터 톰캣 쓰레드가 실행하기까지톰캣 쓰레드 파라미터톰캣 쓰레드 조절 실습마치며 🛞 API 요청부터 톰캣 쓰레드가 실행하기까지Spring MVC로 프로젝트를 구성하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서블릿을 사용합니다. 스프링부트로 작성했을 때 기본적으로 서블릿 컨테이너인 톰캣이 내장돼 있습니다. 바로 이 톰캣이 서블릿 컨테이너 역할을 하면서 요청 쓰레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데요. 해당 쓰레..